국정감사를 앞두고 배달업계 1위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의 ‘로드러너’ 시스템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14일 오전 국회 소통회관에서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H)의 글로벌 배차 시스템 ‘로드러너’ 강제 도입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라이더·점주·직원 노조와 정치권이 한자리에 모여 “현장의 90% 이상이 반대하는 시스템을 강행하는 것은 DH 본사의 수익 극대화를 위한 것”이라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로드러너’는 DH가 자체 개발한 글로벌 배차 시스템으로, 기존 실시간 접속 중심의 배차 구조를 ‘시프트(출퇴근)’ 기반으로 전환하고 등급 평가 체계를 도입한 것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라이더는 사전에 근무시간을 예약해야 하며, 등급에 따라 배차 혜택이 달라진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배달 노동의 자율성과 유연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제도”라는 비판이 거세다.
업계에 따르면 로드러너의 전국 확대 일정으로 “10월 22일 제주, 11월 19일 진주, 2026년 2월 경상, 3월 전라·충청·강원, 4월 서울·경기 북부, 5월 서울·경기 남부” 계획이 거론된다. 배민 측은 “제주 외 지역은 미정, 테스트 단계”라고 해명했지만, 현장에선 “내부 회의에서 ‘2026년까지 DH의 배달 로지스틱스 스택 전환’이 언급됐다”며 사실상 장기 로드맵이 굳어졌다고 보고 있다.
박정훈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제조업 공장에서 새 기계를 도입할 때는 위험성 평가, 안전 인증, 노동자 교육 등 기본 절차가 필수인데, 플랫폼 산업이라는 이유로 이런 과정이 모두 생략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소 오류, 지도 불편, 불투명한 요금 정산 등 로드러너의 오류를 결국 노동자들이 직접 감수하고 있다”며 “플랫폼 공장을 바꾸는 대가를 현장 노동자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DH는 매년 한국에서 수천억 원의 배당금을 챙기면서도 경영상 책임은 회피하고 있다”며 “플랫폼 산업에 필요한 것은 ‘로드러너’가 아니라 노동법의 적용”이라고 강조했다.
14일 오전 국회 소통회관에서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H)의 글로벌 배차 시스템 ‘로드러너’ 강제 도입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출처=TJB 라이브 화면 캡처>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는 “국민들은 이제 배달의민족을 ‘약탈의 민족’, ‘게르만 민족’이라 부르고 있다”며 “DH는 배민 인수 이후 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통해 약 1조원에 달하는 현금을 챙겨갔다”고 비판했다.
그는 김범석 우아한형제들 대표에게 “로드러너가 한국 시장에 어떤 실효성이 있는지, 고객 편익과 노동자 이익, 안전과 원활한 업무 수행에 지장은 없는지, 점주 매출 상승에 어떤 기여를 할 것인지 설명하라”고 요구했다.

